메인메뉴로 이동 본문으로 이동

lnb영역

강연회

컨텐츠 내용

  1. 강연회
  2. 강연회 정보
[마감]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와 함께 하는 세바시 특집 강연 콘서트
과정 이미지
[마감]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와 함께 하는 세바시 특집 강연 콘서트 클래스정보
신청기간 2022.11.08 - 2022.11.11
교육기간 2022.11.13 - 2022.11.13
교육시간 1시간
수강료 무료 신청 마감!
강연회 소개

강연회-참여신청_세바시홈페이지.png

dtl_1667993775104.jpeg

 

 

✽이 강연회는 <서울시자살예방센터>와 함께합니다.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통계청 사망 원인(서울시 2021년 기준)에 따르면, 2017년도보다 5년 새 20대 자살률은 25.5%, 30대 자살률은 12.1% 증가했으며, 특히 20대의 자살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나의 우울을 극복하고 세상으로 나아가는 방법. 더 나아가 주변 사람들을 어떻게 위로해야 하는지, 사랑으로 사람과 사람의 마음을 잇는 방법을 이번 강연과 문답 토크를 통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청년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부. 세바시 강연

1부는 우리 사회가 이 시대의 청년을 조금 더 이해하고 공감하는 데 필요한 이야기를 해줄 두 분의 강연자가 무대에 섭니다. 

김혜민 YTN PD
수많은 청취자들의 사연을 알리는 라디오 피디로 일하고 있지만 어려움에 처한 청년들을 마주할 때면 무슨 말을 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저마다 사연과 사정은 다 다른거니까요. 나의 청년 때의 아픔으로 지금의 청년들의 아픔을 돌아봅니다. 지금 청년들의 고통은 아마도 기회가 없고,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사회 때문일 겁니다. 이런 시대를 사는 청년들에게 어른으로서 도대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제가 알려드릴 해답은 "좋은 생활인"이 되는 것입니다.

유승규 안무서운회사 대표
저는 실패에 상처입고 은둔하는 청년들이 겪는 고립의 경험이 새로운 시도를 얼마나 두렵게 만드는 지 잘 알고 있습니다. 저도 수년간 방 안에만 있었거든요. 씻는 것도차 너무 버겁고 방이 온통 쓰레기장 처럼 되거나, 창문을 열어보면 계절이 바뀌어있기도 했고, 밖에서 걷는 나의 걸음이 어색하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제일 어려운 것은 누군가에게 이런 나의 모습을 솔직하게 털어놓고 도움을 요청하는 일이었죠. 그래서 우리는 우리의 흑역사를 스펙으로 갈고 닦아 우리와 같은 사람들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안무서운회사가 하는 일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부. 인생질문 토크

2부는 정신과 전문의 김현수 선생님과, 한 팔을 잃는 고통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열심히 개척해나가고 있는 김나윤 선수를 초대해, 청년들이 품고 있는 질문과 궁금증에 답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김현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청년들이 죽음을 택하는 사회'. 2020년, 20대 사망자 둘 중 하나는 자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남은 절반도 '죽지 못해 사는' 거나 마찬가지일 수 있습니다. 삶을 겨우 버티거나 결국 버티지 못한 청년들로 가득한 사회는 정상이 아닙니다. 기성세대로부터 전혀 이해받지 못한 채 더 불행해진 청년들, 고용 한파로 삶의 기반이 뿌리째 흔들린 청년들, 기댈 곳 하나 없이 정서적으로 고립된 청년들.. 절박한 심정으로 인생질문 무대에 섰습니다."

김나윤 크리에이터, 피트니스 선수
"2018년 7월 15일 서울외곽으로 휴무를 즐기러 가는중 교통사고가 났습니다. 저는 사고로 한팔을 잃게 되었어요. 저의 한팔이 없는 모습을 거울로 첫 대면할 때의 충격은 여전히 생생합니다. 거울로 본 제 모습은 이상하고 기괴했어요. 꽤 오랜 시간 우울과 절망의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랬던 제가 내면의 힘을 키우는 세 가지 방법으로 피트니스 대회 4관왕을 하기도 하고, 장애인식 개선 홍보대사도 하며 제2의 인생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유의사항
기침, 인후통, 발열 등 코로나19 의심 증상 시 입장 불가할 수 있습니다.
응모 시, 개인정보활용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이벤트 종료 1개월 후 폐기합니다.
응모 시, 방송제작을 위한 초상권 활용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관객 리액션 촬영이 있습니다)
교육장소 : 서울 동작구 여의대방로54길 18 서울여성플라자 (대방동, 서울여성플라자)